설명을 하기 전에,
- 지원 종료 되기 전의 Google Universal Analytics을 통상적으로 GA로 부른다.
그 이후 변경된 버전이 GA4 - GA는 수집된 데이터의 기본 단위를 조회라고, GA4에서는 모든 조회를 포함 이벤트 단위로 데이터가 수집된다.
(공식문서) [UA→GA4] Google 애널리틱스 4와 유니버설 애널리틱스의 이벤트 비교
- 이제 막 이벤트 구조를 이해하는 입문자에게는 기본 단위가 조회니 이벤트니 뭐니.. 와닿지 않을 것이다.
- 따라서, GA와 1대1 비교 하기엔 무리가 있지만
쉬운 접근을 위해 본글에서는 이벤트 = 클릭 이벤트로 간주하고 우선 비교이해하길 추천한다.
GA의 이벤트 구조 | 계층구조 - 카테고리, 액션, 라벨
GA의 이벤트는 카테고리, 액션, 라벨 3개의 계층 구조로 정보를 담아 수집한다.
- 카테고리: 보통 액션 단위를 그룹화하기 위해 지정하는 선택
- 액션: 수집하고 싶은 이벤트의 유형 필수
- 라벨: 이벤트의 부가정보 선택
계층이라는 개념은 위 간단한 시각화로 이해하고, 아래 예시의 설명을 이어 보면 쉽다.
GA의 이벤트 | 계층구조 - 예시
[예시]
hellostagram 서비스의 유저는 각자의 공개 프로필 페이지를 가지고 있다.
이 공개 프로필에 접근하는 사람들을 방문자라고 칭한다.
공개 프로필 페이지에서 추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A, B, C 연결 버튼을 추가했다.
해당 페이지에서는 방문자가 클릭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다양한 요소가 존재한다.
- 공개 프로필 페이지의 방문자 클릭 이벤트 중 일부로
- A, B, C는 각각 얼마나 클릭되는지
- 그 클릭이 유저별로는 얼마나 다르게 발생하는지
이 3가지를 모두 확인할 수 있도록 이벤트 계층 구조를 설계한다면?
나라면 다음과 같이 계층 구조를 나눌 것이다.
- 공개 프로필 페이지의 방문자 클릭 이벤트 중 일부로 => 카테고리
- A, B, C는 각각 얼마나 클릭되는지 => 액션
- 그 클릭이 유저별로는 얼마나 다르게 발생하는지 => 라벨
공개 프로필 페이지에서 발생하는 모든 클릭 이벤트를 click__public-page_visitor 카테고리로 묶으면서, 그 중 새로 추가한 A, B, C에 대해 특정 액션 정보를 정의하고, 이 이벤트가 발생한 페이지의 경로를 라벨 달듯이 같이 보내준다.
- 카테고리: click__public-page_visitor
- 액션: info_a, info_b, info_c
- 라벨: 페이지 경로
이렇게 정의한 내용 바탕으로 @iamthking 유저의 공개 프로필 페이지에서 b버튼이 눌린다면
click__public-page_visitor > info_b > /@iamthking 이렇게 GA에서 각 항목과 숫자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.
여기까지의 설명으로 이전 GA에서의 이벤트 수집 개념을 이해했다면,
- 각 요소에 어떤 기준과 위계로 정의할 것인지는 이벤트를 정의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나의 접근이 꼭 정답이 아니다.
각자의 서비스와 환경에 맞게 설계 규칙을 정하는 게 가장 베스트다. - (중요) 그런데 사실.. GA 지원 종료로 해당 계층구조를 가진 이벤트로 수집할 일은 없을 것이다.
... ㅎㅎ
그럼에도 GA4의 이벤트 구조를 더 쉽게 이해하기 이해하기 위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굳이 지난 버전에 대한 설명으로 시작했다.
그럼 이제 GA4와 비교하며 알아보자.
GA4의 이벤트 구조 | 오로지 매개변수(Parameter)만이 존재
유저와 서비스의 상호작용에 대해 우리가 직접 정의하는 맞춤 이벤트와 그에 대한 매개변수만이 존재한다.
- before(GA): 이벤트에 카테고리, 액션, 라벨 depth가 있는 부가 정보 수집
- after(GA4): 맞춤 이벤트에 매개변수로 부가 정보 수집
위에서 언급된 예시 토대로 GA4에서 이벤트를 재설계한다면 나는 다음과 같이 재정의 할 것이다.
- 공개 프로필 페이지의 방문자 클릭 이벤트 중 일부로
- A, B, C는 각각 얼마나 클릭되는지
=> 이벤트
- 그 클릭이 유저별로는 얼마나 다르게 발생하는지
=> 매개변수
공개 프로필 페이지에서 발생한 A, B, C 클릭 이벤트 각각을 정의하고, 이벤트가 발생한 페이지의 경로를 매개변수로 같이 보내준다.
- 이벤트: click__public-page_visitor_info-a, click__public-page_visitor_info-b, click__public-page_visitor_info-c
- 매개변수: 페이지 경로
이벤트의 부가 정보로 페이지의 경로를 포함하지 않는다면 개념적으로는 이런 식으로도 할 수는 있다.
- 이벤트: click__public-page_visitor
- 매개변수: 클릭 요소 & 값: info-a, info-b, info-c...
하지만 상호작용 단위로 최대한 이벤트 레벨에서 정의하기를 권장.
GA4의 이벤트 | GTM에서 태그로 구성한다면
이벤트 전송 역할을 해주는 GTM 태그 구성창에서도 GA4구조에 맞게 입력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.
위 예시대로라면 유저가 '장바구니 추가'라는 이벤트를 할 때 '상품명'이라는 부가 정보도 같이 수집해서 보낸다는 뜻이다.
하지만 이 설정만으로 GA4에서 확인하려고 보면 이벤트만 찍히고 매개변수의 값이 안 보일 것이다.
여기서 GA 이벤트와 또 하나의 차이가 있다.
GA4의 이벤트 | 매개변수는 맞춤 측정기준으로 등록해야 한다
- GA4는 내가 직접 정의하고 수집된 매개변수 값에 대해
- GA4 보고서에서도 보여달라고 요청하는 과정이 필요하다. (까다롭긴..)
- 맞춤 이벤트에 매개변수를 추가 정의했다면
- 그에 맞춰서 GA에서 맞춤 측정기준을 함께 정의해줘야 한다.
- 하단 톱니바퀴 설정 아이콘 > 속성 설정 > 데이터 표시 > 맞춤 정의 > [맞춤 측정기준 만들기] 버튼
- 측정기준 이름은 원하는대로,
- 범위는 이벤트
- 이벤트 매개변수만 GTM 기준 태그에서 정의한 변수명 그대로 입력하면 된다.
나는 GA 이벤트 구조에 대한 이해와 정의에 익숙해있던 지라, 처음 GA4로 전환을 준비하며 이벤트를 핸들링할 때 좀 혼란스러웠다. 그래서 나와 같은 사람이 또 있을까 싶어 이벤트 수집/정의 기준으로 간략하게 살펴봤다. 이제 GA4에서의 이벤트와 매개변수 개념이 잡혔을테니 본격적으로 이벤트 정의 심화와 조회 방법들에 대해 다루어보겠다.
'데이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GA4 & GTM | 스크롤 깊이 (뎁스) 이벤트 (1) | 2024.02.06 |
---|---|
GA4 | GTM (구글 태그 매니저)에 연결하기 _ 초기 세팅 (0) | 2024.02.06 |
PUR / ARPPU / ARPU 개념 (0) | 2024.02.02 |
GA4 | 활성 사용자 (Active User) 확인 / 탐색 보고서 - DAU, WAU, MAU (1) | 2024.01.21 |
CTR과 CVR로 상황 해석하고 진단하기 (0) | 2024.01.1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