노트

스타트업의 아이디어는 어떻게 평가해야 하는가? | Y Combinator _ Kevin Hale

닷츠 2024. 2. 13. 02:34
728x90
반응형

PM은 프로덕트 뿐만 아니라 더 넓은 시각에서 비즈니스 가능성과 가치평가에 대한 이해도 있어야 한다. 결국 프로덕트는 회사의 비즈니스를 위한 수단이기 때문에. 또한, 스타트업 업계에서 이직을 할 때도 판단 근거로 참고하기 좋은 내용이다. 스타트업의 아이디어를 1. 문제 2. 솔루션 3. 인사이트 3개 파트로 나누고, 구체적인 요소를 명료하게 구조화하여 설명해준다. 사실 이미 이 영상이 공개된 시점부터 업계에서 유명했던... 오래 전에 봤었는데 리마인드 겸 다시 보며 불렛 포인트로 요약 정리해 본다.

 


https://youtu.be/DOtCl5PU8F0

 

 

빠르게 성장하지 않으면 일반 회사와 다를 바 없다

  • 스타트업은 성장이다.
  •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는 증거를 보여주거나,
  • 빠르게 성장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거나.

 

스타트업의 아이디어는 가설, 어떻게 구조화 할 것인가?

  • 문제 (Problem): 가장 첫 번째 조건. 풀려고 하는 문제가 무엇인가?
  • 솔루션 (Solution): 문제를 풀기 위해 시도하는 실험은 무엇인가?
  • 인사이트 (Insight): 가설에 대한 시도들이 왜 성공할 것인가?

 

좋은 문제 (Problem)의 정의 : 최소 1가지는 충족해라.

  • Popular: 많은 사람들이 겪고 있는 문제
  • Growing: 점점 더 많은 사람들이 겪게 될 문제
  • Urgent: 빠르게 해결이 되어야 하는 문제
  • Expensive: 해결을 통해 많은 돈을 벌 수 있는 문제
  • Mandatory: 사람들이 반드시 풀어야만 하는 문제
  • Frequent: 반복적으로 겪게 되는, 많은 빈도로 발생하는 문제

각 요소 기준 이상적인 문제는

  • Popular: 100만명 이상이 겪고 있는 문제
  • Growing: 20% 이상의 연 성장율을 가진 시장에서 발생하는 문제
  • Urgent: 지금 바로 해결책이 필요한 문제
  • Expensive: 조 단위의 규모를 가진 시장에서 발생하는 문제
  • Mandatory: 법안이나 규제의 변화로 새로운 시장의 기회가 열린 문제
  • Frequent: 반복적으로 사용하게 될 해결책이 있는 문제

 

솔루션 (Solution) : Don't SISP

  • 해결책을 정의해놓고 거꾸로 문제점을 찾고 정의하지 마라
  • e.g. AI 기술이 뜨고 있는데, 이 기술로 어떤 문제를 해결해볼까?

 

 

인사이트 (Insight) : What is your company's UNFAIR ADVANTGE?

  • 차별화된 경쟁력은 무엇인가?
  • 이 차별화된 경쟁력은 어떻게 성장으로 이어지는가?

 

차별화된 경쟁력의 5개 유형

  • Founder advantage: 창업자가 세계에서 10명 중 1명 정도로 특출난 능력이 있는가?
  • Market advantage: 매년 20% 이상씩 성장하는 트렌디 시장인가? 그러나 시장은 가장 약한 경쟁력 유형
  • Product Advantage: 프로덕트가 타 제품 대비 10배 이상 나은가?
  • Acquisition advantage: 얼마나 효율적으로 고객을 모을 수 있는가? => 모객 비용 없이 바이럴로 성장이 Best
  • Monopoly advantage: 회사가 성장하며 경쟁사가 넘보기 힘들만큼 강력한 비즈니스가 형성되는가?
728x90
반응형